카테고리 없음 / / 2023. 2. 5. 12:09

톤 코인 텔레그램 코인 시세 정보 전망

반응형

 

 

텔레그램 메신저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든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톤 코인 누가 개발했는지, 어떤 기술력과 배경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같은 시장에서는 코인들의 특징과 배경을 알아보고 다음 상승 코인을 예측하기 위해 공부해 보는 것도 좋은 투자 습관이라 생각합니다.

 

톤 코인 시세

톤 코인 시세를 현재 23년 2월 5일 기준 2930원 정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업비트에 있는 톤(토카막 네트워크)과는 다른 코인입니다. 헷갈리실 분들 있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최저가 약 0.5달러, 최고가 약 4.5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하락장에서도 꾸준히 상승해 주며 꾸준히 상승했던 톤 코인 앞으로도 좋은 시세를 유지하고 상승할 것 같습니다. 그 이유를 밑에 정보와 시세에서 확인하겠습니다.

정보

2018년 차세대 암호화폐와 DApp호스팅을 위한 멀티 블록체인 시스템인 톤은 전 세계 2억 명의 텔레그램 이용자들에게 수천 개의 디앱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톤 지갑을 사용하게 하여 세계에서 가장 많이 채택된 암호화폐 거래를 할 수 있다. 러시아 출신의 니콜라이 두로프, 파벨 두로프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확장성을 위해 샤딩 지원 기능이 탑재하고 있고 자동으로 톤 블록체인을 분할 및 병합할 수 있다. 시스템 크기에 관계없이 신속한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스마트 블록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레이어 2 플랫폼으로 관련 디앱들을 그대로 옮겨올 수 있다는 점에서 탈중앙성, 안정성과 확장성을 제공하였고, 빠른 처리와 검증 기록으로 55,000 TPS 이상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톤 코인은 거버넌스 권한 부여, 스테이킹을 통한 체인 생성, 보상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토카막 네트워크는 튜링완전성을 가졌고,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마체인이나 롤업 등의 다양한 레이어 2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토카막 네트워크에서는 블록체인 간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이나 체인 간 데이터를 중개하는 별도의 블록체인을 만들지 않더라도 체인 간 블록 검증이 가능하게 하여 확장성의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프로젝트에 따르면 토카막 네트워크는 원래의 이더리움이 목표했던 금융/비금융 분야를 아울러 다양한 서비스를 만드는 가장 주요한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망

이번 크립토 윈터에서도 톤 코인은 지속적인 상승을 보여주며 전 세계 암호화폐 시총 22위까지 상승했습니다. 이유없이 상승하는 코인은 없습니다. 사실상 텔레그램 사용자수와 톤 코인의 생태계 참여자 수가 비례하기 때문에 유저들이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톤 코인의 장점으로는 텔레그램이라는 자체 메신저를 통해 코인을 쉽고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라인 등의 다른 메신저들에게는 구현이 안된 독보적인 장점이며 텔레그램 생태계 또한 작년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또 한번 사용자 수가 폭발적으로 성장해 덩달아 톤 코인의 생태계 또한 급속도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5억명이나 되는 텔레그램 사용자들이 가장 쉽게 접하고 이용가능한 코인인 것입니다. 톤 프록시라는 어떠한 검열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완벽한 수준의 보안과 사용 편의성 때문에 코인 사용자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토큰 마켓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의 84%가 텔레그램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을만큼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텔레그램의 영향력이 엄청나기 때문에 홍보면에서도 다른 어떠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보다 유리한 입장에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국내외 모든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트위터와 텔레그램을 주력으로 마켓팅을 합니다.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하면서 도지코인에 대한 관심과 상승이 이어졌습니다. 텔레그램 또한 이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상당합니다. 커뮤니티의 대화는 거의 텔레그램에서 소통되며 관계자들 또한 텔레그램 커뮤니티를 모니터링하며 프로젝트를 평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텔레그램을 기반으로 사용되는 톤 코인에 대한 큰 매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전세계 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대세 코인인 톤코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